python
-
random 모듈 【 import random 】 난수 발생시키는 함수 정수 중에서 난수 1개를 발생시킴 : randint 함수 【 random.randint( 범위 시작 정수, 범위 끝 정수 ) 】 지정된 범위에서 지정된 개수의 난수를 발생시킴 : sample 함수 - 결과값을 리스트로 반환 【 random.sample( 범위 지정, 발생시킬 난수 개수 ) 】 [실습] 10부터 100사이의 난수 중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가 각각 3배의 배수인지 True / False 출력 import random import operator random_int = random.randint(10, 100) num10 = operator.floordiv(random_int, 10) #십의 자리, 몫 num1 = oper..
파이썬 python : random 모듈random 모듈 【 import random 】 난수 발생시키는 함수 정수 중에서 난수 1개를 발생시킴 : randint 함수 【 random.randint( 범위 시작 정수, 범위 끝 정수 ) 】 지정된 범위에서 지정된 개수의 난수를 발생시킴 : sample 함수 - 결과값을 리스트로 반환 【 random.sample( 범위 지정, 발생시킬 난수 개수 ) 】 [실습] 10부터 100사이의 난수 중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가 각각 3배의 배수인지 True / False 출력 import random import operator random_int = random.randint(10, 100) num10 = operator.floordiv(random_int, 10) #십의 자리, 몫 num1 = oper..
2023.09.23 -
모듈 모듈은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파이썬 파일을 말한다. 누군가 이미 만들어 놓은 훌륭한 기능으로 가져다 쓸 수 있다. 이미 만들어진 훌륭한 기능으로 사용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마치 내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음)---> 계산모듈, 난수모듈, 날짜/시간 모듈 등.. 【 import 모듈명 】 【 모듈명.함수명(인수) 】 모듈 종류 내부 모듈 : 파이썬 설치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외부 모듈 : 별도 설치 후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사용자 모듈 : 사용자가 직접 만든 모듈 operator 모듈 【 import operator 】 산술 연산자 관련 함수 덧셈 연산자 ( + ) : add 함수 【 operator.add( 숫자, 숫자 ) 】 뺄셈 연산자 ( - , subtract) ..
파이썬 python : 모듈 / operator 모듈모듈 모듈은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파이썬 파일을 말한다. 누군가 이미 만들어 놓은 훌륭한 기능으로 가져다 쓸 수 있다. 이미 만들어진 훌륭한 기능으로 사용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마치 내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음)---> 계산모듈, 난수모듈, 날짜/시간 모듈 등.. 【 import 모듈명 】 【 모듈명.함수명(인수) 】 모듈 종류 내부 모듈 : 파이썬 설치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외부 모듈 : 별도 설치 후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사용자 모듈 : 사용자가 직접 만든 모듈 operator 모듈 【 import operator 】 산술 연산자 관련 함수 덧셈 연산자 ( + ) : add 함수 【 operator.add( 숫자, 숫자 ) 】 뺄셈 연산자 ( - , subtract) ..
2023.09.23 -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란, 피연산자의 논리(True, False)를 이용한 연산이다. and 연산 [ A and B ] A와 B가 모두 True 인 경우에만 결과값이 True 이다. # 파이썬 print('[and 연산]')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True, Tru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False, True and Fals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True, Fals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False, False and False)) -- 출력 -- [and 연..
파이썬 Python : 논리 연산자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란, 피연산자의 논리(True, False)를 이용한 연산이다. and 연산 [ A and B ] A와 B가 모두 True 인 경우에만 결과값이 True 이다. # 파이썬 print('[and 연산]')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True, Tru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False, True and Fals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True, Fals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False, False and False)) -- 출력 -- [and 연..
2023.09.20 -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의 결과값은 bool 형식이다. (True, False) # 파이썬 num1 = int(input('첫번째 숫자 : ')) num2 = int(input('두번째 숫자 : ')) print() print('{} > {}\t(크다)\t\t결과값: {}'.format(num1,num2,(num1>num2))) print('{} >= {}\t(크거나 같다)\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t(작다)\t\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 1 (크거나 같다) 결과값: True 3 < 1 (작다) 결과값: False 3 =char2)) print('\'{}\' < \'{}\'\t(작다)\t\t결과..
파이썬 Python : 비교 연산자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의 결과값은 bool 형식이다. (True, False) # 파이썬 num1 = int(input('첫번째 숫자 : ')) num2 = int(input('두번째 숫자 : ')) print() print('{} > {}\t(크다)\t\t결과값: {}'.format(num1,num2,(num1>num2))) print('{} >= {}\t(크거나 같다)\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t(작다)\t\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 1 (크거나 같다) 결과값: True 3 < 1 (작다) 결과값: False 3 =char2)) print('\'{}\' < \'{}\'\t(작다)\t\t결과..
2023.09.20 -
산술 연산자 덧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문자를 이어서 나열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뺄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곱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자 = 문자를 숫자만큼 반복하여 나열 나눗셈 【 / 】 나눗셈 결과는 float(실수) 형태이다. 정수 / 정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
파이썬 Python :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 덧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문자를 이어서 나열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뺄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곱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자 = 문자를 숫자만큼 반복하여 나열 나눗셈 【 / 】 나눗셈 결과는 float(실수) 형태이다. 정수 / 정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
2023.09.20 -
연산자 : 피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을 한다.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 , / │ 사칙연산 │ % │ 나눗셈의 나머지 │ // │ 나눗셈의 몫 │ ** │ 거듭 제곱 할당 연산자 │ = │ 할당 복합 연산자 │ += │ 덧셈 연산 후에 할당 │ -= │ 뺄셈 연산 후에 할당 │ *= │ 곱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눗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머지 연산 후에 할당 │ //= │ 몫 연산 후에 할당 │ **= │ 거듭제곱 연산 후에 할당 비교 연산자 │ > │ 크다. │ >= │ 크거나 같다. │ < │ 작다. │
파이썬 Python : 연산자 종류연산자 : 피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을 한다.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 , / │ 사칙연산 │ % │ 나눗셈의 나머지 │ // │ 나눗셈의 몫 │ ** │ 거듭 제곱 할당 연산자 │ = │ 할당 복합 연산자 │ += │ 덧셈 연산 후에 할당 │ -= │ 뺄셈 연산 후에 할당 │ *= │ 곱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눗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머지 연산 후에 할당 │ //= │ 몫 연산 후에 할당 │ **= │ 거듭제곱 연산 후에 할당 비교 연산자 │ > │ 크다. │ >= │ 크거나 같다. │ < │ 작다. │
2023.09.20 -
데이터 입력: 【 input( ) 함수 】 키보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준다. input( ) 함수로 입력받은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 형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의 자료형을 지정할 수 있다. #【 파이썬 】 print('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 입력해주세요.\n첫번째 입력 :') inputData = input()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put('두번째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t(input('정수형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
파이썬 Python : 데이터 입출력데이터 입력: 【 input( ) 함수 】 키보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준다. input( ) 함수로 입력받은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 형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의 자료형을 지정할 수 있다. #【 파이썬 】 print('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 입력해주세요.\n첫번째 입력 :') inputData = input()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put('두번째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t(input('정수형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
2023.09.17 -
변수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변수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주소하면 되지만, 손쉽지 않아서, 변수에 이름표(변수명)를 붙여서 접근 용이하게 사용한다. 변수 선언 및 초기화 【 변수명 = 변수 초기값 】 #【 파이썬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num = 10 pi = 3.15 intro = '안녕하세요.' on = True = (할당 연산자) : 오른쪽에 있는 데이터를 왼쪽에 있는 변수에 할당해준다. 변수는 정의할 때 반드시 '초기화'하도록 한다. 변수는 주로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변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변수명 작명법 영문, 숫자, 한글이 사용 가능하다. 숫자는 첫글자로 사용 금지한다. 특수문자 ..
파이썬 Python : 변수와 자료형변수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변수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주소하면 되지만, 손쉽지 않아서, 변수에 이름표(변수명)를 붙여서 접근 용이하게 사용한다. 변수 선언 및 초기화 【 변수명 = 변수 초기값 】 #【 파이썬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num = 10 pi = 3.15 intro = '안녕하세요.' on = True = (할당 연산자) : 오른쪽에 있는 데이터를 왼쪽에 있는 변수에 할당해준다. 변수는 정의할 때 반드시 '초기화'하도록 한다. 변수는 주로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변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변수명 작명법 영문, 숫자, 한글이 사용 가능하다. 숫자는 첫글자로 사용 금지한다. 특수문자 ..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