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첫째주
-
중첩 반복문 반복문 안에 또다른 반복문을 선언한다. for i in range(1, 10): for j in range(i):#또 다른 반복문 print('*', end='') print() [실습] 아래 모양이 출려되도록 코드 작성하기 ********* ******** ******* ****** ***** **** *** ** * [실습] 구구단 전체를 출력하기
파이썬 Python : 중첩 반복문중첩 반복문 반복문 안에 또다른 반복문을 선언한다. for i in range(1, 10): for j in range(i):#또 다른 반복문 print('*', end='') print() [실습] 아래 모양이 출려되도록 코드 작성하기 ********* ******** ******* ****** ***** **** *** ** * [실습] 구구단 전체를 출력하기
2023.09.26 -
continue 키워드 반복 실행 중 continue를 만나면 이후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간다.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이후 실행 생략 후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else 키워드 else의 실행문은 반복문의 종료된 후 실행된다. cnt = 0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cnt += 1 else:#반복문이 종료된 후 실행 print('99까지의 정수 중 7의 배수는 {}개입니다.'.format(cnt)) [실습]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 3과 7의 공배수와 ..
파이썬 python : 반복문 제어continue 키워드 반복 실행 중 continue를 만나면 이후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간다.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이후 실행 생략 후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else 키워드 else의 실행문은 반복문의 종료된 후 실행된다. cnt = 0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cnt += 1 else:#반복문이 종료된 후 실행 print('99까지의 정수 중 7의 배수는 {}개입니다.'.format(cnt)) [실습]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 3과 7의 공배수와 ..
2023.09.25 -
반복문 특정 실행을 반복하는 것 반복문을 사용하면 프로그래밍이 간결하고 유지 보수가 쉽다. 반복문 사용 이유 패턴이 동일한 구문을 여러개 쓰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print('{} * {} = {}'.format(2, 1, (2*1))) print('{} * {} = {}'.format(2, 2, (2*2))) print('{} * {} = {}'.format(2, 3, (2*3))) print('{} * {} = {}'.format(2, 4, (2*4))) print('{} * {} = {}'.format(2, 5, (2*5))) print('{} * {} = {}'.format(2, 6, (2*6))) print('{} * {} = {}'.format(2, 7, (2*7))) print('{} * {..
파이썬 python : 반복문반복문 특정 실행을 반복하는 것 반복문을 사용하면 프로그래밍이 간결하고 유지 보수가 쉽다. 반복문 사용 이유 패턴이 동일한 구문을 여러개 쓰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print('{} * {} = {}'.format(2, 1, (2*1))) print('{} * {} = {}'.format(2, 2, (2*2))) print('{} * {} = {}'.format(2, 3, (2*3))) print('{} * {} = {}'.format(2, 4, (2*4))) print('{} * {} = {}'.format(2, 5, (2*5))) print('{} * {} = {}'.format(2, 6, (2*6))) print('{} * {} = {}'.format(2, 7, (2*7))) print('{} * {..
2023.09.23 -
조건식 어떤 조건에 따라 실행이 분기 되는 식 【 A if 조건식 else B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A 실행, 그렇지 않으면 B 실행 num1 = 10 num2 = 100 result = True if num1 > num2 else False print('num1 > num2 : {}'.format(result)) print('num1은 num2보다 크다.') if result else print('num1은 num2보다 크지 않다.') -- 출력 -- num1 > num2 : False num1은 num2보다 크지않다. [실습] 적설량을 입력받고, 적설량이 30mm 이상이면 '대설 경보 발령'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설 경보 해제' 출력 limit = 30 snow = int(print('적..
파이썬 python : 조건식 & 조건문조건식 어떤 조건에 따라 실행이 분기 되는 식 【 A if 조건식 else B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A 실행, 그렇지 않으면 B 실행 num1 = 10 num2 = 100 result = True if num1 > num2 else False print('num1 > num2 : {}'.format(result)) print('num1은 num2보다 크다.') if result else print('num1은 num2보다 크지 않다.') -- 출력 -- num1 > num2 : False num1은 num2보다 크지않다. [실습] 적설량을 입력받고, 적설량이 30mm 이상이면 '대설 경보 발령'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설 경보 해제' 출력 limit = 30 snow = int(print('적..
2023.09.23 -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란, 피연산자의 논리(True, False)를 이용한 연산이다. and 연산 [ A and B ] A와 B가 모두 True 인 경우에만 결과값이 True 이다. # 파이썬 print('[and 연산]')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True, Tru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False, True and Fals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True, Fals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False, False and False)) -- 출력 -- [and 연..
파이썬 Python : 논리 연산자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란, 피연산자의 논리(True, False)를 이용한 연산이다. and 연산 [ A and B ] A와 B가 모두 True 인 경우에만 결과값이 True 이다. # 파이썬 print('[and 연산]')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True, Tru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True, False, True and Fals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True, False and True)) print('{} and {}\t결과값: {}'.format(False, False, False and False)) -- 출력 -- [and 연..
2023.09.20 -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의 결과값은 bool 형식이다. (True, False) # 파이썬 num1 = int(input('첫번째 숫자 : ')) num2 = int(input('두번째 숫자 : ')) print() print('{} > {}\t(크다)\t\t결과값: {}'.format(num1,num2,(num1>num2))) print('{} >= {}\t(크거나 같다)\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t(작다)\t\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 1 (크거나 같다) 결과값: True 3 < 1 (작다) 결과값: False 3 =char2)) print('\'{}\' < \'{}\'\t(작다)\t\t결과..
파이썬 Python : 비교 연산자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의 결과값은 bool 형식이다. (True, False) # 파이썬 num1 = int(input('첫번째 숫자 : ')) num2 = int(input('두번째 숫자 : ')) print() print('{} > {}\t(크다)\t\t결과값: {}'.format(num1,num2,(num1>num2))) print('{} >= {}\t(크거나 같다)\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num2)) print('{} < {}\t(작다)\t\t결과값: {}'.format(num1, num2, num1= 1 (크거나 같다) 결과값: True 3 < 1 (작다) 결과값: False 3 =char2)) print('\'{}\' < \'{}\'\t(작다)\t\t결과..
2023.09.20 -
산술 연산자 덧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문자를 이어서 나열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뺄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곱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자 = 문자를 숫자만큼 반복하여 나열 나눗셈 【 / 】 나눗셈 결과는 float(실수) 형태이다. 정수 / 정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
파이썬 Python :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 덧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문자를 이어서 나열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뺄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숫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곱셈 【 * 】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자 = 문자를 숫자만큼 반복하여 나열 나눗셈 【 / 】 나눗셈 결과는 float(실수) 형태이다. 정수 / 정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문자 / 문자 = ERROR (오류발생!) 문자 / 숫..
2023.09.20 -
연산자 : 피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을 한다.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 , / │ 사칙연산 │ % │ 나눗셈의 나머지 │ // │ 나눗셈의 몫 │ ** │ 거듭 제곱 할당 연산자 │ = │ 할당 복합 연산자 │ += │ 덧셈 연산 후에 할당 │ -= │ 뺄셈 연산 후에 할당 │ *= │ 곱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눗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머지 연산 후에 할당 │ //= │ 몫 연산 후에 할당 │ **= │ 거듭제곱 연산 후에 할당 비교 연산자 │ > │ 크다. │ >= │ 크거나 같다. │ < │ 작다. │
파이썬 Python : 연산자 종류연산자 : 피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을 한다.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 , / │ 사칙연산 │ % │ 나눗셈의 나머지 │ // │ 나눗셈의 몫 │ ** │ 거듭 제곱 할당 연산자 │ = │ 할당 복합 연산자 │ += │ 덧셈 연산 후에 할당 │ -= │ 뺄셈 연산 후에 할당 │ *= │ 곱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눗셈 연산 후에 할당 │ %= │ 나머지 연산 후에 할당 │ //= │ 몫 연산 후에 할당 │ **= │ 거듭제곱 연산 후에 할당 비교 연산자 │ > │ 크다. │ >= │ 크거나 같다. │ < │ 작다. │
202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