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데이터분석/첫째주

파이썬 Python : 데이터 입출력

  • -
728x90

 

 데이터 입력: 【 input( ) 함수 】     

  • 키보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준다.
  • input( ) 함수로 입력받은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
  • 형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의 자료형을 지정할 수 있다.
#【 파이썬 】

print('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 입력해주세요.\n첫번째 입력 :')
inputData = input()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put('두번째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int(input('정수형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float(input('실수형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bool(input('논리형(문자열)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inputData = bool(int(input('논리형(정수) 입력 : ')))
print(inputData, type(inputData), sep='\t', end='\n\n')
-- 출력 --

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 입력해주세요.
첫번째 입력 :
11
11 <class 'str'>

두번째 입력 : 둘
둘 <class 'str'>

정수형 입력 : 10
10 <class 'int'>

실수형 입력 : 3.69
3.69 <class 'float'>

논리형(문자열) 입력 : 0
True <class 'bool'>

논리형(정수) 입력 : 0
False <class 'bool'>



 

 데이터 출력: 【 print( ) 함수 】     

  •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해준다.
  • 콤마(,) : 데이터 연속 출력
  • 데이터 출력하고 자동개행하는 것이 기본 옵션
  • end 속성 : end='' - 자동개행이 안되게 해준다.

 

포맷 문자열

  • 【   print( f ' 텍스트 { 변수명 } ' )   】

 

format( ) 함수

  •    print( ' 텍스트 { } { } ' . format( 변수명, 변수명 ) )   】
    【   print( ' 텍스트 {순번숫자} {순번숫자}' . format( 0번 변수명, 1번 변수명) )   】

 

특수 문자

  • \t -> 탭, \n -> 개행

 

형식 문자

  • %s -> 문자열
    %d -> 정수
    %f -> 실수
    %.3f -> 소수점 3번째까지만
  •    print( ' 텍스트 %s %d %f ' % (변수명, 변수명, 변수명) )   
    【   print( ' 텍스트 %d ' % 변수명 )   
    【   print( ' 텍스트 %.6f ' % 변수명 )   

 

#【 파이썬 】

print('각 항목에 값을 입력해주세요.')
year = input('년도: ')
month = input('월: ')
day = input('일: ')
print(f'입력하신 날짜는\t{year}년 {month}월 {day}일 입니다.')
print()

name = input('이름: ')
age = int(input('나이: '))
print('저의 이름은 {0}입니다. 나이는 {1}세입니다. "'"{0}"'"는 개명한 이름입니다.\n'.format(name, age))

width = float(input('가로(cm): '))
height = float(input('세로(cm): '))
print('가로 %.3fcm, 세로 %.3fcm의 넓이는 %dcm²(%.1fcm²) 입니다.' % (width, height, widthheight, widthheight))
-- 출력 --
각 항목에 값을 입력해주세요. **
년도: 2023
월: 5
일: 7
입력하신 날짜는 2023년 5월 7일 입니다.

이름: 나야나
나이: 18
저의 이름은 나야나입니다. 나이는 18세입니다. "나야나"는 개명한 이름입니다.

가로(cm): 15.482884
세로(cm): 23.9772106001
가로 15.483cm, 세로 23.977cm의 넓이는 371cm²(371.2cm²) 입니다.



 

 

 데이터 출력: 【 format( ) 함수 】     

문자열 중간 중간에 특정 변수의 값을 넣는 문자열 포맷팅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중괄호를 텍스트 출력하기

  • 【 변수명 = ' 텍스트 {{}}, {}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변수명 = ' 텍스트 {{{순번숫자}}}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print(변수명) 】

 

문자열 정렬하기

왼쪽 정렬

  • 【 변수명 = ' 텍스트 {순번 숫자 :< 폭(자리수) 숫자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print(변수명) 】

오른쪽 정렬

  • 【 변수명 = ' 텍스트 {순번 숫자 :> 폭(자리수) 숫자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print(변수명) 】

가운데 정렬

  • 【 변수명 = ' 텍스트 {순번 숫자 :^ 폭(자리수) 숫자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print(변수명) 】

 

자리수 표현하기

  • 【 변수명 = ' 텍스트 {순번 숫자 : 폭(자리수) 숫자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print(변수명) 】

숫자의 세자리마다 ,(콤마) 표현하기

  • 변환된 결과값은 문자(열) 형태이다.
  • 【 변수명 = format( 출력할 데이터 또는 변수명, ',' ) 
    【 print(변수명,'원') 】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