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데이터분석/첫째주

파이썬 python : 조건식 & 조건문

  • -
728x90

어떤 조건에 따라 실행이 분기 되는 식

 

【  A   if  조건식   else  B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A 실행, 그렇지 않으면 B 실행

 

num1 = 10 num2 = 100 result = True if num1 > num2 else False print('num1 > num2 : {}'.format(result)) print('num1은 num2보다 크다.') if result else print('num1은 num2보다 크지 않다.')
-- 출력 --

num1 > num2 : False
num1은 num2보다 크지않다.

 

 

[실습] 적설량을 입력받고, 적설량이 30mm 이상이면 '대설 경보 발령'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설 경보 해제' 출력

limit = 30 snow = int(print('적설량 입력(mm): ')) print('적설량: {}mm,{}'.format(snow, '대설 경보 발령')) if snow >= limit else print('적설량: {}mm,{}'.format(snow, '대설 경보 해제'))

 

 

[실습] 국어, 영어, 수학 점수를 입력하면, 조건식을 이용해서 과목별 합격 결과와 전체 결과를 출력
과목별 합격 점수 : 60점
전체 합격 평균 점수 : 70

 

 

 

 

특정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기

 

조건문 종류

  • 단일 조건 :  if 문
  • 양자 택일 :  if ~ else 문
  • 다자 택일(다중 조건) :  if ~ elif 문

 

【   if 조건식:

           실행문   】

if 10 > 5: print('10은 5보다 크다') num1 = 10 num2 = 20 if num1 <= num2: print('num1은 num2보다 작거나 같다.')

 

[실습] 국어, 영어, 수학 정보를 입력하고 평균이 90점 이상이면 '참 잘했어요.' 출력

 

[실습] 실내 온도를 입력하고 온도가 28℃이상이면 '냉방 작동'이 출력되고, 온도가 28℃이하이면 '난방 작동'이 출력

 

 

조건식 결과에 따라 둘 중에 하나가 실행됨

【   if 조건식:

           실행문

     else 조건식:

           실행문   】

passScore = 80 myScore = int(input('점수 입력: ')) if myScore >= passScore: print('PASS') else: print('FAIL')

 

[실습] 나이를 입력하고 교통 요금 유/무료 여부를 출력

65세이상 : 교통 요금 무료

 

[실습] 실수를 입력하고,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는 프로그램

소수점 첫번째 자리가 5이상이면 올림, 미만이면 내림하는 조건문으로 구현

 

 

 

실행을 하지 않고 넘긴다.

 

 

 

  • 조건식 결과에 따른 실행한 하는 경우
  • 조건식 결과를 변수에 할당하는 경우
point_user = 1000 minAblePoint = 100 print('포인트 사용 가능') if point_user >= minAblePoint else print('포인트 사용 불가능') result = '가능' if point_user >= minAblePoint else '불가능' print('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 : {}'.format(result))

 

▷ 모든 조건식(삼항연산자)은 if ~ else문으로 변경할 수 있다.

 모든 if ~ else 문을 조건식(삼항연산자)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습] 비올 확률을 입력하고 비올 확률이 55% 이상이면 '우산을 챙기세요.'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양산을 챙기세요.'를 출력

 

 

 

여러 가지 조건식 결과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됨.

【   if 조건식:

           실행문

     elif 조건식:

           실행문   】

 

【   if 조건식:

           실행문

     elif 조건식:

           실행문

     else 조건식:

           실행문   】

 

score = int(input('시험 성적 입력 : ')) grades = '' if score >= 90: grades = 'A' elif score >= 80: grades = 'B' elif score >= 70: grades = 'C' elif score >= 60: grades = 'D' else: grades = 'F' print('성적: {} \t 학정: {}'.format(score, grades))

 

[실습] 계절을 입력하면, 영어로 번역되어 출력

[실습] 키오스크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영수증이 출력

 

 

 

  • 조건식 순서가 중요하다.
  • 조건 범위를 명시한다.

 

[실습] 자동차 배기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한다고 할때, 다음 표를 보고 배기량을 입력하면 해당 세금이 출력

 

 

 

조건문 안에 또 다른 조건문이 있을 수 있다.

( = 조건문 안에 또 다른 조건문을 선언한다.)

score = int(input('점수 입력 : ')) if score < 60: print('재시험 대상입니다.') else: if score >= 90: print('A') elif score >= 80: print('B') elif score >= 70: print('C') elif score >= 60: print('D')

 

[실습] 출퇴근시 이용하는 교통 수단에 따라 세름을 감면해주는 정책을 반영하여 결과 출력

  • 의사코드
    출퇴근 대상인가?
    출퇴근 대상자이면
            도보, 자전거  ---▷  세금 감면 5%
            버스, 지하철  ---▷  세금 감면 3%
            자가용  ---▷  세금 감면 1%

    출퇴근 대상자가 아니면
            세금 변동 없음

 

반응형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