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ue 키워드
반복 실행 중 continue를 만나면 이후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간다.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이후 실행 생략 후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else 키워드
else의 실행문은 반복문의 종료된 후 실행된다.
cnt = 0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format(i))
cnt += 1
else: #반복문이 종료된 후 실행
print('99까지의 정수 중 7의 배수는 {}개입니다.'.format(cnt))
[실습]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 3과 7의 공배수와 최소 공배수를 출력하자.
(공배수란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인 배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3과 4의 공배수는 3의 배수이기도 하고 4의 배수이기도 한 수이다. 두 수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하는데, 두개이상의 모든 공배수는 최소공배수의 배수이다.)
break 키워드
반복 실행 중 break를 만나면 반복문을 빠져나온다.
num = 0
while True:
print('hello')
num += 1
if (num >= 5):
break #반복문 종료
print('The END')
#1부터 100까지 정수를 더할 때, 합계가 100이 넘는 최초의 정수 찾기
sum = 0
searchNum = 0
for i in range(100):
sum += 1
if sum > 100:
searchNum = i
break #반복문 종료
print('searchNum: {}'.format(searchNum))
[실습] 10의 팩토리얼(10!)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결과값이 50을 넘을 때의 숫자 구하기
*팩토리얼: 계승이라고 하며, 1부터 n개의 양의 정수를 모두 곱한 것을 n팩토리얼이라고 하며, n!로 나타낸다.
즉, n! = 1 * 2 * 3 * … * (n-1) * n 이다.
n은 보통 양의 정수 범위에서 주어진다. n!=n (n-1)!의 성질에서 n이 1일 때 1=1 0! 이 되므로 0!=1로 약속한다.
[실습] 새끼 강아지 체중이 2.2kg가 넘으면 이유식을 중단하려고 한다.
한번 이유식을 먹을 때 체중이 70g 증가한다고 할때, 예상되는 이유식 날짜를 구하자.
현재 체중은 800g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