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Pandas DataFrame 의 구조 Column Name ↓ Index → 0 1 2 3 4 기관명 소계 2013년도이전 2014년도 2015년 2016년 강남구 3237 1292 430 584 932 강동구 1010 379 99 155 377 강북구 831 369 120 138 204 강서구 911 388 258 184 81 관악구 2109 846 260 390 613 ← Values ↑ Column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 DataFrame( ) pandas . DataFrame( 데이터, index=인덱스명 데이터, columns=컬럼명 데이터) https://pandas.pydata.org/docs/reference/frame.html panda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형은 DataFra..
EDA : Pandas(판다스)Pandas DataFrame 의 구조 Column Name ↓ Index → 0 1 2 3 4 기관명 소계 2013년도이전 2014년도 2015년 2016년 강남구 3237 1292 430 584 932 강동구 1010 379 99 155 377 강북구 831 369 120 138 204 강서구 911 388 258 184 81 관악구 2109 846 260 390 613 ← Values ↑ Column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 DataFrame( ) pandas . DataFrame( 데이터, index=인덱스명 데이터, columns=컬럼명 데이터) https://pandas.pydata.org/docs/reference/frame.html panda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형은 DataFra..
2023.10.24 -
Pandas (판다스) powerful Python data analysis toolkit https://pandas.pydata.org/docs/user_guide/index.html Python에서 R만큼의 강력한 데이터 핸들링 성능을 제공하는 모듈 단일 프로세스에서는 최대 효율 코딩 가능하고 응용 가능한 엑셀로 받아들여도 됨 누군가 스테로이드 맞은 엑셀로 표현함 Pandas 모듈 불러오기 【 import pandas 】 【 import pandas as 별칭 】 import 명령을 통해서 사용하겠다고 선언한다. Pandas로 CSV 파일 읽기 : 【 pandas . read_csv ('경로~/파일명.csv', encoding='인코딩 타입') 】 https://pandas.pydata.org/doc..
EDA : Pandas로 파일 읽기Pandas (판다스) powerful Python data analysis toolkit https://pandas.pydata.org/docs/user_guide/index.html Python에서 R만큼의 강력한 데이터 핸들링 성능을 제공하는 모듈 단일 프로세스에서는 최대 효율 코딩 가능하고 응용 가능한 엑셀로 받아들여도 됨 누군가 스테로이드 맞은 엑셀로 표현함 Pandas 모듈 불러오기 【 import pandas 】 【 import pandas as 별칭 】 import 명령을 통해서 사용하겠다고 선언한다. Pandas로 CSV 파일 읽기 : 【 pandas . read_csv ('경로~/파일명.csv', encoding='인코딩 타입') 】 https://pandas.pydata.org/doc..
2023.10.24 -
공약수 두 개 이상의 수에서 공통된 약수를 공약수라고 한다. 12의 약수 → 1, 2, 3, 4, 6, 12 20의 약수 → 1, 2, 4, 5, 10, 20 공약수 → 1 , 2 , 4 최대공약수 공약수 중 가장 큰수를 최대공약수라고 한다. 12의 약수 → 1, 2, 3, 4, 6, 12 20의 약수 → 1, 2, 4, 5, 10, 20 ●공약수 → 1 , 2 , 4 ●최대공약수 → 4 소인수분해를 이용하면, 최대 공약수 및 공약수를 구할수 있다. ( 소인수분해 : 1보다 큰 정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낸 것 ) 12의 소인수분해 : 2 × 6 → 2 × 2 × 3 → 2^2 × 3 20의 소인수분해 : 2 × 10 → 2 × 2 × 5 → 2^2 × 5 ●최대 공약수 : 공통인 소인수의 거듭제곱에서 ..
기초수학 : 최대공약수공약수 두 개 이상의 수에서 공통된 약수를 공약수라고 한다. 12의 약수 → 1, 2, 3, 4, 6, 12 20의 약수 → 1, 2, 4, 5, 10, 20 공약수 → 1 , 2 , 4 최대공약수 공약수 중 가장 큰수를 최대공약수라고 한다. 12의 약수 → 1, 2, 3, 4, 6, 12 20의 약수 → 1, 2, 4, 5, 10, 20 ●공약수 → 1 , 2 , 4 ●최대공약수 → 4 소인수분해를 이용하면, 최대 공약수 및 공약수를 구할수 있다. ( 소인수분해 : 1보다 큰 정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낸 것 ) 12의 소인수분해 : 2 × 6 → 2 × 2 × 3 → 2^2 × 3 20의 소인수분해 : 2 × 10 → 2 × 2 × 5 → 2^2 × 5 ●최대 공약수 : 공통인 소인수의 거듭제곱에서 ..
2023.10.19 -
소인수 분해는 어떤 수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낼때, 약수를 찾을때 많이 씀. 소인수 소인수 = 소수 + 인수(=약수) 약수(=인수)중에서 소수인 숫자를 소인수라고 한다. 20의 약수(인수) → 1 2 4 5 10 20 │ │ ▽ ▽ 소수 소수 └─┬─┘ ▽ 소인수 12의 인수: 1, 2, 3, 4, 6, 12 소인수: 2, 3 36의 인수: 1, 2, 3, 4, 9, 12, 18, 36 소인수: 2, 3 25의 인수: 1, 5, 20 소인수: 5 41의 인수: 1, 41 소인수: 41 소인수분해 1보다 큰 정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낸 것을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20의 소인수분해 → 2 × 10 │ ▽ 2 × 5 ─────────── ↓ 2 × 2 × 5 ↓ 2^2 × 5 12의 인수: 1, 2, 3, 4..
기초수학 : 소인수, 소인수분해소인수 분해는 어떤 수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낼때, 약수를 찾을때 많이 씀. 소인수 소인수 = 소수 + 인수(=약수) 약수(=인수)중에서 소수인 숫자를 소인수라고 한다. 20의 약수(인수) → 1 2 4 5 10 20 │ │ ▽ ▽ 소수 소수 └─┬─┘ ▽ 소인수 12의 인수: 1, 2, 3, 4, 6, 12 소인수: 2, 3 36의 인수: 1, 2, 3, 4, 9, 12, 18, 36 소인수: 2, 3 25의 인수: 1, 5, 20 소인수: 5 41의 인수: 1, 41 소인수: 41 소인수분해 1보다 큰 정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낸 것을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20의 소인수분해 → 2 × 10 │ ▽ 2 × 5 ─────────── ↓ 2 × 2 × 5 ↓ 2^2 × 5 12의 인수: 1, 2, 3, 4..
2023.10.19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 나머지 없이 떨어지게 하는 수 2 2 ÷ 1 = 2 2 ÷ 2 = 1 3 3 ÷ 1 = 3 3 ÷ 3 = 1 8 8 ÷ 1 = 8 8 ÷ 2 = 4 8 ÷ 4 = 2 8 ÷ 8 = 1 9 9 ÷ 1 = 9 9 ÷ 3 = 3 9 ÷ 9 = 1 2의 약수: 1, 2 3의 약수: 1, 3 8의 약수: 1, 2, 4, 8 9의 약수: 1, 3, 9 15 15 ÷ 1 = 15 15 ÷ 3 = 5 15 ÷ 5 = 3 15 ÷ 15 = 1 22 22 ÷ 1 = 22 22 ÷ 2 = 11 22 ÷ 11 = 2 22 ÷ 22 = 1 104 104 ÷ 1 = 104 104 ÷ 2 = 52 104 ÷ 4 = 26 104 ÷ 8 = 13 104 ÷ 13 = 8 … 15의 약수: 1, 3, 5, 15 2..
기초수학 : 약수와 소수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 나머지 없이 떨어지게 하는 수 2 2 ÷ 1 = 2 2 ÷ 2 = 1 3 3 ÷ 1 = 3 3 ÷ 3 = 1 8 8 ÷ 1 = 8 8 ÷ 2 = 4 8 ÷ 4 = 2 8 ÷ 8 = 1 9 9 ÷ 1 = 9 9 ÷ 3 = 3 9 ÷ 9 = 1 2의 약수: 1, 2 3의 약수: 1, 3 8의 약수: 1, 2, 4, 8 9의 약수: 1, 3, 9 15 15 ÷ 1 = 15 15 ÷ 3 = 5 15 ÷ 5 = 3 15 ÷ 15 = 1 22 22 ÷ 1 = 22 22 ÷ 2 = 11 22 ÷ 11 = 2 22 ÷ 22 = 1 104 104 ÷ 1 = 104 104 ÷ 2 = 52 104 ÷ 4 = 26 104 ÷ 8 = 13 104 ÷ 13 = 8 … 15의 약수: 1, 3, 5, 15 2..
2023.10.18 -
여러줄 읽기 readlines( )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읽어서 리스트 형태로 반환한다. open한 객체를 담은 변수명.readlines( ) lans.txt hello python hello c++ hello java hello javascript url = '경로/~/' with opne(url+'lans.txt', 'r') as f: lanList = f.readlines() print(f'lanList: {lanList}') print(f'lanList type: {type(lanList)}') -- 출력 -- lanList: ['hello python\n', 'hello c++ \n ', 'hello java\n ', 'hello javascript\n '] lanList type: 한줄 읽기 ..
파이썬 Python : 여러줄 읽기 readlines( ) / 한줄 읽기 readline( )여러줄 읽기 readlines( )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읽어서 리스트 형태로 반환한다. open한 객체를 담은 변수명.readlines( ) lans.txt hello python hello c++ hello java hello javascript url = '경로/~/' with opne(url+'lans.txt', 'r') as f: lanList = f.readlines() print(f'lanList: {lanList}') print(f'lanList type: {type(lanList)}') -- 출력 -- lanList: ['hello python\n', 'hello c++ \n ', 'hello java\n ', 'hello javascript\n '] lanList type: 한줄 읽기 ..
2023.10.18 -
iterable 객체 : 반복 가능한 객체 대표적으로 iterable한 타입 - list , tuple, dict, set, str, bytes, range iterable한 타입인지 확인 - instance(변수명, collections.Iterable) iterable한 타입이 맞으면 True 반환 iterator 객체 : 값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는 객체 iterator는 iterable한 객체를 내장함수(iter) 또는 iterable 객체의 메소드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내장함수 iter()를 사용해 iterator 객체를 만들수 있습니다. a = [1,2,3] a_iter = iter(a) print(type(a_iter)) -- 출력 -- iterable객체는 매직메소드 __i..
파이썬 Python : 반복 가능한 객체의 파일 쓰기 writelines( )iterable 객체 : 반복 가능한 객체 대표적으로 iterable한 타입 - list , tuple, dict, set, str, bytes, range iterable한 타입인지 확인 - instance(변수명, collections.Iterable) iterable한 타입이 맞으면 True 반환 iterator 객체 : 값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는 객체 iterator는 iterable한 객체를 내장함수(iter) 또는 iterable 객체의 메소드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내장함수 iter()를 사용해 iterator 객체를 만들수 있습니다. a = [1,2,3] a_iter = iter(a) print(type(a_iter)) -- 출력 -- iterable객체는 매직메소드 __i..
2023.10.16 -
텍스트 파일 관련 기본함수 open(), read(), write(), close() 텍스트 파일 ① ② ③ ── open( ) ── read() or write( ) ─→ close( ) 파일 열기 읽기 또는 쓰기 파일 닫기 파일 쓰기: write( ) write( ) 함수를 이용한 파일에 문자열 쓰기 【 파일 객체를 담은 변수명.write(데이터) 】 열린 파일에 데이터가 쓰여진다. 반환값이 있으며, 이는 쓰여진 문자열의 갯수이다. file = open('경로/~/파일명.txt', 'w')#w - 쓰기모드, r - 읽기모드 #w - 쓰기모드 : 파일명이 있으면 열고, 열으면 새로 생성해서 연다. #기존의 내용은 없애고 새로운 내용으로 덮어쓴다. #r - 읽기모드 : 파일명이 없으면 오류가 난다. st..
파이썬 Python : 텍스트 파일 다루기텍스트 파일 관련 기본함수 open(), read(), write(), close() 텍스트 파일 ① ② ③ ── open( ) ── read() or write( ) ─→ close( ) 파일 열기 읽기 또는 쓰기 파일 닫기 파일 쓰기: write( ) write( ) 함수를 이용한 파일에 문자열 쓰기 【 파일 객체를 담은 변수명.write(데이터) 】 열린 파일에 데이터가 쓰여진다. 반환값이 있으며, 이는 쓰여진 문자열의 갯수이다. file = open('경로/~/파일명.txt', 'w')#w - 쓰기모드, r - 읽기모드 #w - 쓰기모드 : 파일명이 있으면 열고, 열으면 새로 생성해서 연다. #기존의 내용은 없애고 새로운 내용으로 덮어쓴다. #r - 읽기모드 : 파일명이 없으면 오류가 난다. st..
2023.10.14